문경 조령산 이화령 기점
문경 조령산
2020년 2월 2일 조령산
조령산의 특징
조령산은 여러 가지 즐거움을 주는
다양한 등산코스와
겨울산행에는 설경이 산행의 색다른
묘미를 안겨다 준다
이화령의 해발이 529m여서
조령산(1017m)으로
가는 코스는 그리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
조령산은 백두대간 코스로
주변 문경새재 관문길 및 주흘산과 연계산행 등
복합적으로 즐길 거리가 많다
등산코스는
이화령 -> 조령샘 -> 조령산 정상 -> 원점회귀
(산행시간 약 2시간 30분)
2월달로 접어든 겨울날씨는
바람도 많이 불지 않고
춥지는 않은 편이다
오늘 산행의 예감은 좋은 편이다
우선 이화령 휴게소 앞 주차장에 주차하고
이화령 터널을 건너
이화정을 거쳐 산허리로 산행을 시작한다
등산길은 잔설없이
마른 낙엽으로 겨울산길이 계속이어진다
가는 도중
돌무덤이 곳곳에 만들어져
있어서 눈길을 끈다
이윽고 이화령에서
능선길을 따라온 길과 만나는
합류되는 지점을 만나게 되고 계속 부지런히
가다보면 조령샘을 만나게 된다
조령샘에는 원격유량측정기가 설치되어
관리가 되고 있는데 예전에는
없었던 것이다
조령샘물로 잠시 목을 축이고 가파르게
늘어진 나무계단을 한참 오른다
이 나무계단을 통해 능선을 올라서면 절골에서
올라온 등산길과 합류되는 길을 만나게 된다
이 길에서 곧장 가다보면
잔설과 함께 상고대가 남아있는
눈길로 된 능선을 지나게 된다
전번에 월악산 산행 시에도
정상부근의 고도에서는 눈길이 되어 있는 것과 같이
조령산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상부근에서 눈길을
맞이하게 된다
올해 마지막으로 밟게되는 눈길이라 생각하고
눈을 밟는 느낌을 즐기면서 기분좋은
산행을 이어간다
가끔 몰아치는 바람에 나무에서
떨어져 흩날리는 눈가루 들이 지나가는
겨울을 아쉬워 하는 듯 하다
조령산 정상에 오르면
내린 눈이 거의 다 녹아 내려서
정상석 주변의 바닥의 흙은
질척질척한 상태로 되어
등산객이 불편을 느끼게 만든다
조령산에 오게 되면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조령산 정상의 조망은 좋지 못한 편이다
가을철에 오면 조령산 정상을 지나
신선암봉 까지 가야
환상적인 가을단풍과 웅장하고 멋드러진
산세를 구경할 수 있어서
조령산 –신선암봉 – 깃대봉 코스를
산행코스로 잡곤 했다